2020년 4월 2일 AM 9:00 기준
상위 10개국에 대한 수치이다.
확진자 기준 순위 | 국가명 | 확진자 수 | 전일대비 확진자 증감 | 사망자 수 |
1 | 미국 | 213,372 | ▲27,107 | 4757 |
2 | 이탈리아 | 10,574 | ▲4,782 | 13,155 |
3 | 스페인 | 102,136 | ▲7,719 | 9,053 |
4 | 중국 | 81,554 | ▲36 | 3,312 |
5 | 독일 | 77,872 | ▲6,182 | 920 |
6 | 프랑스 | 56,989 | ▲4,861 | 4,032 |
7 | 이란 | 47,593 | ▲2,987 | 3,036 |
8 | 영국 | 29,474 | ▲4,324 | 2,352 |
9 | 스위스 | 17,139 | ▲963 | 378 |
10 | 터키 | 15,679 | ▲2,148 | 277 |
최근에는 북미와 유럽에 확진자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표를 살펴보면,
상위 10개국 중에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유럽, 북미이다.
중국의 경우 확진자가 36명 증가한 반면
그 외 나라의 경우 적게는 2000여 명 이상, 많게는 미국이 27000여 명 이상으로 큰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
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코로나 19가 발생한 이후로 미국, 유럽 등에는 확진자가 거의 없었다.
중국 등 동아시아가 서서히 증가하는 추세로 가다가 한 번의 절정 이후로 지금은 증가 추세가 약간 둔화되었다.
확진자 기준 순위 | 국가명 | 확진자 수 | 전일대비 확진자 증감 | 사망자 수 |
13 | 오스트리아 | 10,482 | ▲508 | 146 |
14 | 대한민국 | 9,976 | ▲89 | 169 |
15 | 캐나다 | 9,017 | ▲469 | 105 |
우리나라의 경우 코로나 초기에 중국 다음으로 많은 확진자가 있었지만 지금은 확진자 증가 폭이 약간의 둔화 상태이다.
하지만 안심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하루에 100여 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온다면 말이다.
지금 유럽과 북미, 특히 미국은 상황이 반대이다.
미국의 경우 이미 확진자 20여만 명 이상이며 그에 따라 사망자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매일매일 하루가 다르게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다.
여러 매체들을 접하다 보면 나로서는 조금 놀라운 소식이 있다.
유럽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내세우는 슬로건인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행동에 전혀 적극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축구를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스타디움으로 향하며 자가격리 조치에 대한 폭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내가 생각하는 확진자의 증가 추세가 계속 증가하는 큰 이유이다.
물론 이 한 가지 이유만이라고는 단정할 수 없다. 하지만 가장 큰 이유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마스크 착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도 주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코로나로 인해 지금 범지구적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
경제, 산업, 생산, 의료, 개인의 건강은 물론이거니와
개개인의 일정, 계획 등에 차질이 생기는 등 아주 다양한 문제를 안겨주고 있다.
하루빨리 확진자가 줄어들고 완치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크다.
또한 백신과 치료제가 발명되었으면 좋겠다.
나는 세상을 오래 살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어떤 큰 일들이 일어났는지 알고 있다. 지금도 전 세계 사람들은 아주 큰 일을 겪고 있다. 그리고 우리들은 이 큰일을 슬기롭게 대처할 것이란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발 리뷰 - 반스 슬립온 컴피쿠시 (0) | 2020.09.20 |
---|---|
반올림피자샵 네고왕 할인 (0) | 2020.09.19 |
미드 영어공부법 (0) | 2020.03.28 |
프레이저 도허티의 조언 (0) | 2020.03.28 |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2 (0) | 2019.08.05 |
댓글